구면천문학(spherical astronomy)
천구상의 천체의 시위치(방향) 및 시운동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천체와 지구와의 위치관계를 다루는 위치천문학의 한 분야이기도 하죠.
천구상의 천체의 시위치를 나타내려면 구면 좌표의 θ와를 이용합니다(거리 r은 불필요).
이것을 천구 좌표라고 하며, 하나의 대원(주권이라고 부른다)에 준거해서 정합니다.
주권으로서 천문학적 지평선을 택한 것을 지평좌표라고 부릅니다.
이 때 θ를 방위각이라 하고 A로 나타내며, 를 고도라 하며 h로 나타냅니다.
또한 h의 여각혈을 천정거리라 합니다.
방위각은 남쪽을 기점으로 하고, 서쪽을 정, 동쪽을 음으로 합니다.
고도는 지평선보다 위를 정, 아래를 음으로 합니다.
천체로부터의 빛은 대기에 의해서 굴절하므로, 천체의 위치를 정밀하게 알려면 그 「대기차」의 보정이 필요합니다.
주권을 적도로 취하고, 춘분점을 기점으로 하는 좌표를 적도 좌표라고 부릅니다.
θ를 적경이라 하고, 15°를 1시간으로 하는 시간 단위로 동회전으로 재는 것을 적위라 하며, 북쪽을 정, 남쪽을 부로 합니다.
하늘 북극의 적위는 90°가 됩니다.
주권을 황도로 잡은 것을 황도 좌표라고 합니다.
북극 대신에 황도의 북극을 잡고, 기점은 마찬가지로 춘분점으로서 역시 황경과 황위가 정해집니다.
또 은하의 평균 중심선을 주권으로 하는 은하 좌표가 정해져 은하계 그 외 대우주의 구조 연구에 이용됩니다.
이들 좌표에 의한 관측 결과에 대해서는 더 나아가 근거리 천체에 관해서는 지구의 크기(관측자와 지구 중심의 거리)를 고려한 지심시차, 근거리 항성에 대해서는 지구의 염주운동에 의한 연주시차, 또 일반적으로 지구의 공전속도에 의한 염주광행차 등의 보정이 필요합니다.
천문학의 한 분과천구상의 태양, 달, 행성, 항성 등의 천체의 위치나 운동을 천구 좌표로 기술하고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일식, 월식, 별식, 궤도 계산, 달력 계산, 시각 측정, 경위도 측정, 방위 측정등 외, 천체의 위치에 외관상의 변화를 주는 대기차, 지심시차, 광행차, 연주시차, 세차, 장동, 고유 운동등이 대상입니다.
천구상에 투영된 행성, 항성 등의 위치, 운동, 겉보기 크기 등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태양, 달, 행성, 항성 등 모든 천체를 천구상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이들의 위치나 위치의 변화를 천구 좌표에 의해 기술하고 연구하는 천문학의 한 분야입니다.
구면천문학은 천문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가장 조기에 발달한 기초적 분야로, 특히 모든 천문 관측에 직결되어 있습니다.
천구 좌표에는 관측자의 지평선에 고정된 지평 좌표와 천구에 고정되어 천구와 함께 회전하는 적도 좌표, 황도 좌표, 은하 좌표가 있습니다.
황도 좌표는 태양계 천체의 위치나 운동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은하 좌표는 은하계 연구에 사용됩니다.
'천문학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계 생명에 대하여 (0) | 2022.02.21 |
---|---|
적외선 천문학이란 무엇인가? (0) | 2022.02.20 |
적색 거성에 대하여 (0) | 2022.01.09 |
천체 측광학이란 무엇인가? (0) | 2022.01.09 |
안드로메다 은하에 대하여 (0) | 2022.01.09 |